이 영역을 누르면 첫 페이지로 이동
검은고양이 블로그 블로그의 첫 페이지로 이동

검은고양이 블로그

페이지 맨 위로 올라가기

검은고양이 블로그

프로그래밍/IT/코인에 대한 정보

C# Class DD 사용법 & DLL 파일 다운로드

  • 2020.11.29 03:37
  • Programming/C#

이번편에서 작성해볼 내용은 C#에서 Class DD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먼저 Class DD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DD32.dll 또는 DD64.dll을 임포트 해줘야 합니다.

본인 프로그래밍 환경에 맞춰 32비트 혹은 64비트 선택하셔서 임포트 해주시면 됩니다.

포스팅은 32비트 기준으로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DllImport("DD32.dll")]
public static extern void DD_key(int ddcode, int flags); // flags = 1일때 keypress, 2일때 keyup

[DllImport("DD32.dll")]
public static extern void DD_mov(int x, int y);

[DllImport("DD32.dll")]
public static extern void DD_movR(int x, int y);

[DllImport("DD32.dll")]
public static extern void DD_btn(int flags); // flags = 1일때 press , 2일때 up

[DllImport("DD32.dll")]
public static extern void DD_whl(int flags); // flags = 1일때 위로 , 2일때 아래로

[DllImport("DD32.dll")]
public static extern void DD_str(string words); // 키보드의 문자열을 직접 입력

 

각각 함수들의 쓰임에 대해

DD_key는 키보드의 키를 입력할 때 사용

DD_mov는 원하는 좌표로 마우스 포인터를 이동

DD_movR은 DD_mov와는 다르게 바로 이동하는게 아닌 현재 좌표를 기준으로 픽셀 단위로 이동

DD_btn은 마우스 클릭

DD_whl은 마우스의 휠을 당기거나 올림

DD_str은 적힌 문자열을 그대로 입력

 


 

먼저 DD_key의 같은 경우엔 DD의 키코드를 사용하여 입력해 줄 수 있습니다.

flags의 같은 경우엔 1일 때 키를 눌러주고, 2일 때 키를 떼어 줄 수 있습니다.

 

ddcode(DD의 키보드 코드이다.)

위 키보드 코드를 참고하여 예제를 작성해보겠습니다.

 

DD_key(600, 1); // Ctrl키를 누른다
DD_key(600, 2); // Ctrl키를 뗀다

 

키보드의 Ctrl키를 누르고 떼는 예제 코드입니다.

 

DD_mov(100, 120); // x축이 100, y축이 120에 해당하는 지역으로 마우스포인터를 이동
DD_movR(-20, -10); // 현재 마우스 포인터를 기준으로 x축을 -20, y축을 -10만큼 이동 

 

DD_mov와 DD_movR의 예제 코드입니다.

 

DD_btn(1); // 마우스 클릭
DD_btn(2); // 마우스 뗀다

 

DD_btn의 예제 코드입니다.

 

DD_whl(1); // 휠 위
DD_whl(2); // 휠 아래

 

DD_whl의 예제 코드입니다.

 

DD_str("Hello Word~~~"); // Hello Word~~~ 라는 문자를 입력

 

DD_str의 예제 코드입니다.

 


 

void Example()
{
    DD_key(600, 1); // Ctrl키를 누른다
    Thread.Sleep(100); // 0.1초 기다린다
    DD_key(600, 2); // Ctrl키를 뗀다
    Thread.Sleep(100); // 0.1초 기다린다
    DD_key(100, 1); // Esc키를 누른다
    Thread.Sleep(100); // 0.1초 기다린다
    DD_key(100, 2); // Esc키를 뗀다
    Thread.Sleep(100); // 0.1초 기다린다
    DD_mov(100, 100); // 마우스 포인터를 x축 100, y축 100에 해당하는 좌표로 이동한다
}

 

위에 내용을 통해 짜본 간단한 예제 코드입니다.

 

Sleep을 넣어주는 이유는 키가 안 눌리는 문제가 있을 수 있어 넣었습니다.

 


 

질문사항은 댓글에다 남겨주세요!

 

DD94396.z01
10.00MB
DD94396.zip
8.51MB

용량 제한이 있어 분할 압축으로 업로드합니다.

반응형

'Programming > C#' 카테고리의 다른 글

[C#] 붐크립토 매크로 판매 및 사용법  (0) 2021.12.05
[C#] Clipboard Manager  (0) 2021.09.13
C# 조건문 if, switch에 대해!  (0) 2020.11.29

댓글

이 글 공유하기

  • 구독하기

    구독하기

  • 카카오톡

    카카오톡

  • 라인

    라인

  • 트위터

    트위터

  • Facebook

    Facebook

  • 카카오스토리

    카카오스토리

  • 밴드

    밴드

  • 네이버 블로그

    네이버 블로그

  • Pocket

    Pocket

  • Evernote

    Evernote

다른 글

  • [C#] 붐크립토 매크로 판매 및 사용법

    [C#] 붐크립토 매크로 판매 및 사용법

    2021.12.05
  • [C#] Clipboard Manager

    [C#] Clipboard Manager

    2021.09.13
  • C# 조건문 if, switch에 대해!

    C# 조건문 if, switch에 대해!

    2020.11.29
다른 글 더 둘러보기

정보

검은고양이 블로그 블로그의 첫 페이지로 이동

검은고양이 블로그

  • 검은고양이 블로그의 첫 페이지로 이동

검색

메뉴

    카테고리

    • 분류 전체보기 (8)
      • Notice (0)
      • IT (3)
        • Cryptocurrency (3)
        • Cloud Mining (0)
      • Programming (5)
        • C# (4)
      • Book (0)
        • Review (0)

    최근 글

    인기 글

    댓글

    공지사항

    아카이브

    태그

    • Review
    • BitEvent
    • TIP
    • Programming
    • C#
    • 테이커수수료
    • 제3보급창고
    • BitDAO

    나의 외부 링크

    정보

    Jeongwoojun의 검은고양이 블로그

    검은고양이 블로그

    Jeongwoojun

    블로그 구독하기

    • 구독하기
    • RSS 피드

    방문자

    • 전체 방문자
    • 오늘
    • 어제

    티스토리

    • 티스토리 홈
    • 이 블로그 관리하기
    • 글쓰기
    Powered by Tistory / Kakao. © Jeongwoojun. Designed by Fraccino.

    티스토리툴바